누구나 지켜야 할 폭염 대응법, 생명까지 지킬 수 있습니다
2025년 여름, 폭염은 이미 일상적인 불편을 넘어 국가 재난 수준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기상청은 폭염특보를 수시로 발령하고 있으며, 매년 온열질환자와 사망자 수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럴 때일수록 국민 개개인이 실천할 수 있는 폭염 대비 행동수칙을 숙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본 글에서는 행정안전부와 질병관리청이 권고하는 공식 폭염 행동수칙을 중심으로 누구나 따라야 할 대응법을 정리합니다.
1. 실내 생활 시 수칙
폭염이 지속될 때는 실내에서도 온도 관리가 필수입니다.
고온 다습한 환경은 열사병, 탈수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기적인 환기와 냉방기기 사용이 중요합니다.
실내 수칙 설명
실내 온도 | 26도 이하 유지 권장 |
커튼/블라인드 | 햇빛 차단용으로 반드시 설치 |
환기 | 하루 2~3회 외기 순환 필요 |
냉방기기 | 선풍기와 병행 사용, 냉기 집중 방지 |
2. 야외 활동 시 수칙
기온이 33도 이상일 경우 야외 활동은 최소화해야 하며,
외출 전에는 반드시 기상특보 확인 후 대비해야 합니다.
야외 수칙 설명
외출 시간 | 오전 11시~오후 5시 자제 |
복장 | 밝고 통풍 잘되는 옷, 모자·양산 활용 |
수분 섭취 | 갈증 전부터 수시로 물 마시기 |
행동 | 30분 간격으로 그늘에서 휴식 |
3. 무더위쉼터 활용 수칙
에어컨이 없는 가정, 옥탑방, 반지하 거주자는
지역 무더위쉼터를 적극 이용해야 합니다.
전국 7만 개 이상 쉼터가 운영되며 일부는 야간까지 개방됩니다.
쉼터 정보 방법
위치 확인 | 129 상담센터 또는 행정안전부 홈페이지 |
운영 시간 | 09:00~18:00, 지역별 탄력 운영 |
이용 대상 | 누구나 무료 이용 가능, 특히 노약자 우선 |
4. 취약계층 보호 수칙
폭염 사망자 중 70% 이상이 고령자, 독거노인, 만성질환자입니다.
이들은 스스로 위험을 감지하거나 대처하기 어려우므로
주변의 관심과 구조 체계가 절실합니다.
대상별 수칙 보호 방법
고령자 | 하루 3회 이상 안부 확인, 쉼터 안내 |
독거노인 | 재난도우미, 방문 건강관리 신청 가능 |
만성질환자 | 복약시간 조절 여부 의사와 상담 필요 |
영유아 | 야외차량 방치 절대 금지, 수분 자주 제공 |
5. 근로자 안전 수칙
건설현장, 택배, 배송 등 야외 근무자는 폭염 속 노동강도 조절이 필요합니다.
고용노동부는 폭염경보 발령 시 근무 중지 또는 탄력근무를 권고합니다.
근무 안전 내용
휴식시간 | 1시간마다 최소 10~15분 휴식 필수 |
작업 시간 | 오후 2시~5시 중단 권장 |
작업복 | 땀 흡수 잘되는 기능성 의류 착용 |
보호장비 | 헬멧, 장갑 내 습도 고려하여 교체 사용 |
6. 차량 및 반려동물 수칙
폭염 시 차량 내부 온도는 단 10분 만에 50도 이상으로 치솟습니다.
아이, 반려동물, 노약자 방치는 생명을 위협하는 행위입니다.
차량 수칙 설명
차량 탑승 전 | 문 열고 환기 후 냉방 시작 |
주정차 시 | 절대 생명체 남겨두지 않기 |
반려동물 산책 | 이른 아침 또는 저녁 시간대만 가능 |
차량용 커튼 | 아동 보호용 햇빛가리개 설치 필수 |
7. 온열질환 응급 대응 수칙
폭염 시 어지러움, 두통, 구토, 땀 없음 등의 증상은
열사병 또는 열탈진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이럴 땐 망설이지 말고 119 또는 응급실로 이동해야 합니다.
증상 응급조치
열경련 | 시원한 장소 이동, 물 마시고 휴식 |
열탈진 | 눕힌 후 다리 높이기, 소금물 제공 가능 |
열사병 | 의식저하 시 젖은 수건으로 체온 낮추기, 즉시 119 요청 |
8. 꼭 기억해야 할 실천사항 7가지 요약
- 매일 기상청 폭염 특보 확인하기
- 물 자주 마시고, 갈증 전에 보충하기
- 야외활동은 오전 11시~오후 5시 피하기
- 무더위쉼터 위치 미리 알아두기
- 어르신·어린이·질환자 곁에서 자주 살피기
- 냉방기기 과용보다 통풍과 환기 활용
- 이상 증상 땐 119 또는 보건소 즉시 연락
'건강 챙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폭염 속 건강 지키는 7가지 생활수칙 (1) | 2025.07.27 |
---|---|
폭염의 원인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 분석 (3) | 2025.07.26 |
2025년 폭염, 얼마나 위험할까? 최신 동향 정리 (0) | 2025.07.26 |
수분 보충 제대로 안 하면 생기는 무서운 증상! 몸이 보내는 탈수 경고 신호 (1) | 2025.07.24 |
폭염에 차량 내부 온도 10도 낮추는 꿀팁! 탑승 전부터 시원하게 만드는 법 (3) | 2025.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