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챙기기

인터넷 자꾸 끊길 때 DNS 변경으로 해결! 간단한 설정만으로 속도·안정성↑

회선 문제 아니라면 DNS 설정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직접 바꿔보세요

인터넷 검색 중 갑자기 멈추거나
와이파이는 연결됐는데 페이지가 뜨지 않는 경우,
기기나 회선 문제보다 DNS 설정이 원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DNS는 우리가 입력한 주소(예: naver.com)를
실제 IP로 연결해주는 중간 해석자 역할을 하는데,
기본값이 느리거나 불안정할 경우
끊김, 지연, 연결 실패 현상이 자주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DNS를 바꾸는 것만으로
인터넷 연결 안정성과 속도를 높이는 방법
을 알려드립니다.

1. DNS란 무엇인가요? 주소 해석을 돕는 핵심 연결 고리

DNS(Domain Name System)는
우리가 웹 주소를 입력할 때
도메인 이름을 숫자로 된 IP 주소로 바꾸는 중간 시스템입니다.
이 과정이 느려지거나 실패하면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어도 페이지가 뜨지 않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입력한 주소 DNS가 변환 연결 결과

www.google.com 142.250.206.78 실제 웹 서버 연결됨

2. 가장 많이 쓰는 빠르고 안정적인 무료 DNS 추천

대표적인 공용 DNS는
속도와 보안, 안정성 측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제공업체 기본 주소 보조 주소

Google DNS 8.8.8.8 8.8.4.4
Cloudflare 1.1.1.1 1.0.0.1
KT (국내 안정성) 168.126.63.1 168.126.63.2

Cloudflare는 개인정보 보호와 빠른 응답속도로 유명하며,
Google DNS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됩니다.


3. 스마트폰 DNS 설정 바꾸는 방법 (Wi-Fi 기준)

· iPhone
설정 > Wi-Fi > 연결된 네트워크 클릭 > DNS 구성 > 수동
→ 기존 DNS 삭제 후 1.1.1.1, 1.0.0.1 입력

· Android
설정 > 연결 > Wi-Fi > 고급 설정 > IP 설정 → 정적
→ DNS1, DNS2 입력

변경 후엔 웹사이트 접속 속도와 안정성 개선을 바로 체감할 수 있습니다.


4. PC에서도 DNS 설정은 간단합니다 (윈도우 기준)

· 제어판 >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 어댑터 설정 변경
· 사용 중인 네트워크 우클릭 > 속성 > IPv4 선택 > 속성
· ‘다음 DNS 서버 주소 사용’ 클릭 후 아래 입력

예시)
기본 DNS: 1.1.1.1
보조 DNS: 1.0.0.1

변경 후 반드시 재부팅하거나 네트워크 재연결 필요


5. DNS 바꿔도 안 될 땐 공유기 캐시 초기화도 병행하세요

· 공유기 전원 OFF → 30초 후 다시 ON
· 관리자 페이지 접속 > DNS 설정 직접 입력 가능
· 공유기 자체의 DNS 캐시 오류가 해결되면
집 전체 네트워크 속도 향상에 도움이 됩니다


DNS 변경, 속도와 연결 안정성을 동시에 잡는 손쉬운 해결책입니다

인터넷 속도가 느리거나
웹페이지가 자주 끊긴다면
기기 문제보다 먼저 DNS 설정부터 점검하고 변경해보세요.
몇 숫자만 바꿔도 접속 환경이 완전히 달라질 수 있습니다.